본문 바로가기

콘텐츠5

떡상 그 이후 한 번 떡상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그게 넥스트로 이어지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떡상했으면 구독자가 폭발적으로 늘든가. 구매로 이어지든가. 다음 콘텐츠로 계속 확장되어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문제. 여기서 핵심은, 사람들이 유입되어 자연스럽게 다음으로 흘러갈 무엇이 항상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콘텐츠 사이에서 이리저리 흘러 다닐 수 있는 구조가 갖춰져야 한다. 콘텐츠만 만드는 게 아니라 좀 더 넓은 마당을 만드는 것이다. 거기서 돌아다니고 관찰하고 앉아 놀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것 없이는 매 순간 매 단계마다 파편화되어 사람이 모일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콘텐츠 따로, 질문답변 따로, 구매 따로, 댓글 따로 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컨트롤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2021. 6. 13.
블로그를 하려면, 블로그는 하나부터 열까지 뭔가 도움이 될 것들로 채워야 한다. 가령 주제를 정확히 선정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참아내며 사람들이 관심가질 것들을 우선적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그렇게 사람들이 검색이 아닌 유용한 곳으로 인식하고 계속 찾아오도록 만드는 것이 관건. 계속 찾아오면, 팬이 되고, 팬이 되면 느슨하고 오래된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다. 이것은 어떤 매체를 운영하든 마찬가지. 요즘 가장 핫한 것이 유튜브와 인스타이지만, 역시 마찬가지다. 주제는 한 가지. 그리고 이야기를 다양한 각도로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요즘은 한가지 주제를 말한다고해도 정상 콘텐츠는 유튜브에, 마이너한 정보는 블로그에, 개인적인 관점으로의 콘텐츠는 인스타에 올리는 경향이 있어서 한 가지 주제로 다양한 방향성을 갖고.. 2019. 4. 28.
콘텐츠 제작자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고민. 요즘은 콘텐츠 제작한다고 하면 유튜버냐고 묻는다. "유튜브는 하는데 유튜버는 아니예요." 유튜브를 티비 채널처럼 생각한 것도 얼마 되지 않을뿐더러 재밌게 유튜브를 할 수 있는 능력조차 안 되기 때문에 유튜버는 아니고, 그냥 이야기 꾼 정도일 뿐이다. 나는 통기타 교재를 제작하고 영상을 만들어 유료로 판매하고 악보를 만들고 악보집을 제작하는 사람이다. 1인 출판사다. 통기타를 독학으로 배울 수 있는 교재를 시리즈로 제작해서 팔고 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한 동영상 강좌와 관련 악보들, 그리고 무료 유튜브 강좌를 업데이트 하고 있다. 내가 만든 책을 대형 서점에 납품하고 있으며 내가 직접 사이트도 개설해 소매로 판매도 하는 중이다. 주요 콘텐츠는 기타를 혼자 배울 수 있는 통기타 독학 커리큘럼이다. 즉 교육.. 2019. 4. 18.
쇼핑몰. 접근을 다르게. [쇼핑몰 이야기] 접근을 다르게. 제가 운영하는 통기타이야기라는 온라인 쇼핑몰은 악기만 파는 사이트는 아닙니다. 아니, 물론 악기를 판매하는 사이트지만 덩그러니 악기만 있는 사이트는 아니라는 뜻입니다. 통기타이야기에는 통기타에 대한 구매 정보와 사용 정보와 업계 이야기와 레슨 정보가 있습니다. 이런 글들은 여러가지 담론을 형성합니다. 이런 다양한 유저들의 보이지 않는 대화들은 결과적으로는 사이트에 대한 신뢰를 만듭니다. 허트루 쓰는 기사가 있다면 욕 날아오고 즉시 바로 잡아야 합니다. 이기적으로 쓰는 글은 독자들이 먼저 알아봅니다. 저희는 이야기를 팔고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이야기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죠. 동일한 리뷰가 이곳 저곳에서 올라오고 다양한 견해가 쏟아지지만, 지속적으로 리뷰를 올려 판매.. 2014. 4. 20.
좋은 콘텐츠란. 1. 대중이 원하는 콘텐츠정성을 들인 좋은 콘텐츠가 나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좋은 콘텐츠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평가에 달려있는 것인데, 제작자가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고 설명해도 사용자는 본능적으로 안다. 그게 나한테 도움이 될지 아닐지를. 결국 대중 스스로가 인정하는 퀄리티의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능력이요 성공의 비결이다. 좋은 콘텐츠는 정성을 들인다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사용자 위주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콘텐츠는 기획이 필요하다. 2. 지속적인 콘텐츠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지속적으로 만들기에는 시간이 너무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바쁜 사람들이므로 하루에 한두시간씩 지속적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사업을 하는 사람들의 하루는 눈 뜰 때부터 감을 때까지 업무의 .. 2014.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