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글쓰기는 생각쓰기

by 여목_ 2021. 6. 5.
반응형

글쓰기가 뭐라고 생각하냐고 묻는다면, 나는 '생각을 쓰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내용에 관한 이야기다. 문장력은 나와는 별 상관이 없다. 작가도 아닌걸. 글만으로 책을 낸다면 작가가 되겠지만 그렇다고 내 문장이 지금과 달라질리는 없다. 직설적이고 빠른 글을 쓸테니까.

"말을 글로 옮기면 그것이 글이된다."는 이야기는 글쓰기 책에서 항상 언급되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의 말은 어떻게 나오는 것일까. 아무 생각이 없는 상태거나 전혀 모르는 어떤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라고 하면 과연 청산유수처럼 말을 할 수 있는 것일까. 불가능하다. 말도 안 된다. 말로 할 수도 없는데 글로는 더더욱 쓸 수 없다. 빈 곳간에서 어떻게 쌀가마니가 나올 수 있을까. 논에서 벼를 수확해서 곳간을 채우는 것이다. 동일하게 어떠한 일련의 사건에 대해서 할 말이 있으려면 그 내용에 대해서 '알고'있어야 한다. 한, 두 가지 정도 말고, 전반적으로 상당한 수준의 지식과 식견을 동반하여 알고 있어야 한다. 그 정도로 많이 알고 해박해지면 일종의 '입장'이라는 게 생기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사실과 거짓에 상관없이 관련된 정보를 모으지만 그것들이 어느정도 모이고 이해가 되기 시작하면 이때부터는 자신의 견해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보통 할 말이 생기는 이유는 자신의 입장이 생길때이다. 반대 이야기를 던진다거나 동조하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객관적으로 사건의 진행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도 있다. 이것저것 모두 아는 것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그러니 말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입장이 정리가 됐을 때 비로소 할 말이 생긴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생각(오랜시간 파악된 정보)이 없다면 글을 쓸 수 없다. 자신의 생각이 어떠한지 논지를 정확하게 가지고 있다면 글쓰기가 더 쉬워진다. 이제부터는 말을 글로 옮기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문장력 따지지 말고 생각하는대로 쭉 써 내려가면 된다. 정보를 모으고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입장이 정리됐다고 글이 술술 써지는 건 아니다. 어떤 논지로 이야기를 할지 이야기의 맥락을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글을 쓰다보면 이말했다 저말했다 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래서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는 글들이 많다. 내용은 있지만 그걸 맥락에 맞춰 풀어쓰는 걸 잘 못하기 때문이다. 이걸 잘 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든 글을 써서 (엉망진창이라도) 마무리를 짓고, 그것을 다시 여러번 재구성을 해보는 식으로 구성짜는 연습을 해야한다. 이걸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구성을 조정하는 스킬이 늘면 글을 쓰는 동시에 할 말의 맥락이 정리된다.

정리하면, 정보를 알고 입장을 정리한 후 이야기할 맥락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걸 반복해서 다양한 주제로 써본다. 평소 궁금했던 것, 관심이 있었던 것, 그리고 지식이 있는 것에 대해서 써보면 된다. 쓰면 쓸수록 맥락을 잘 설계할 수 있다. 이 글도 사전에 써 놓은 글이 아니라 즉흥적으로 30분 정도 걸려서 쓰고 있는 중이다. 글을 쓰다가 떠오르는 문장이 있으면 하단에 적어두고 필요한 위치에 가져다가 붙여넣는 식으로 글을 쓴다. 일단 글을 쓰고, 어떻게든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 그래야 맥락을 조정하든 뭘 하든 할 수 있다.

댓글